본문 바로가기
복지·생활정보

2025년 한부모가정 복지제도 총정리

by jiyoung_ssam 2025. 7. 26.

2025 한부모지원

2025년 한부모가정 복지제도 총정리 – 실질적 지원내용과 신청방법까지

안녕하세요.

한부모가 되면 이후 복지제도가 얼마나 절실한지를 몸소 느끼게되는 순간들이 많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정보가 필요하신 분들과 나누고 싶어 이렇게 정리해봅니다.
2025년부터 달라진 한부모 복지제도, 어떤 혜택이 있고, 어떻게 신청하는지 알려드릴게요.


💡 한부모가정, 누가 대상이 될까요?

정부는 부모 중 한 명과 자녀로 구성된 가족을 ‘한부모가족’으로 정의합니다.
이 중에서도 소득 조건을 충족하면 ‘저소득 한부모가정’으로 인정되어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어요.

  • 중위소득 63% 이하인 경우 일반 한부모 지원 대상
  • 청소년 한부모 (만 24세 이하, 중위소득 65% 이하)도 별도 지원
  • 소득기준이 수급자 선정기준에 부합된다면 기초생활수급과 한부모 양육비지원은 중복지원 됩니다

🍼 1. 아동 양육비 지원

2025년 기준, 18세 미만 자녀를 둔 한부모가정에게 월 23만 원의 양육비가 지급됩니다.

추가 지원 조건

  • 5세 이하 자녀 + 조손가정 또는 35세 이상 미혼 한부모 → 월 5만 원 추가
  • 청소년 한부모: 월 최대 40만 원 + 자립수당 월 10만 원

 


 

📚 2. 학용품비 지원 (2025년 확대)

  • 초·중·고 자녀에게 연 93,000원 지급
  • 2025년부터 초등학생까지 확대
  • 중위소득 63% 이하 조건

 


 

🏠 3. 주거복지시설 입소 완화

2025년부터 한부모복지시설 입소 기준이 완화되어 주거지원이 확대됩니다.

  • 중위소득 100% 이하 + 무주택자 → 입소 가능
  • 위기 임산부, 출산 1년 이내 미혼 한부모 등은 소득 조건 없이 입소 가능
  • 입소 시 생활보조금 월 5만 원 지급

 


 

💰 4. 양육비 선지급제 (2025년 7월 시행 예정)

양육비를 받지 못하는 경우, 정부가 먼저 지급하고 나중에 채무자에게 구상하는 제도입니다.
2025년 7월부터 시행 예정이며, 이행명령 경험 등 자료 제출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5. LH 임대주택 우선공급 대상자 인정

임신 중인 미혼모, 자녀를 홀로 양육 중인 부·모, 청소년 한부모 포함, 1순위 자격으로 가산점이 적용되거나 추첨 시 우선순위가 부여됩니다.

LH청약센터 (https://apply.lh.or.kr) 또는 마이홈에서 공고 확인!

 

 

 


 

📝 복지 신청 방법

  1. 복지로 접속 → 복지서비스 → 한부모가족 항목
  2. 거주지 주민센터 또는 건강가정지원센터 방문 (복합적인 지원을 원한다면 주민센터에가서 신청하는것을 추천합니다!)
  3. 한부모가족 증명서 발급 필요 (주민센터 또는 민원24)
  4. 필요서류: 가족관계증명서, 소득증빙, 임대차계약서 등

 

 


 

✅ 마무리하며

복지 정보는 ‘내가 자격이 되는지 몰라서’ 신청 못 하는 경우가 가장 많아요.
혹시라도 조건이 될 수 있으니 꼭 확인해보시고, 신청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복지제도를 몰라 막막한 순간들이 있을겁니다, 조금만 검색해보면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을겁니다.
이 글이 누군가에게 작은 위로와 정보가 되었길 바랍니다 :)


🔗 참고 링크